오늘의 뉴스

김홍걸 "노벨평화상 상금, 동교동 사저 상속세 납부에 썼다"

권영구 2020. 6. 23. 16:55

김홍걸 "노벨평화상 상금, 동교동 사저 상속세 납부에 썼다"

2020.06.23 14:35 | 수정 2020.06.23 15:00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인 더불어민주당 김홍걸 의원 측은 23일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가 유산으로 남긴 동교동 사저와 노벨평화상 상금에 대해 “김 의원이 모든 재산을 상속받을 유일한 합법적 상속인으로서의 지위에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상속받은 노벨평화상 상금 중 일부는 상속세로 납부하는데 사용했다고도 했다.

김 의원은 최근 감정 금액이 32억원 상당인 김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와 8억원가량 남은 노벨평화상 상금을 두고 형인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과 분쟁을 벌여왔다. 김 이사장은 “이희호 여사는 유산을 김 전 대통령 기념사업에 쓰라는 유언장을 남겼지만, 김 의원이 유언장을 따르지 않고 모든 재산을 본인 앞으로 돌렸다”고 주장해 왔다.

지난 10일 고(故) 이희호 여사 1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김홍걸(오른쪽) 의원과 김홍업(왼쪽) 이사장./연합뉴스

 

김 의원 측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이희호 여사가 서거 3년 전 작성된 유언장은 후속 절차를 밟지 않고 법적으로 무효가 됐다”며 “그러나 (법적 효력을 떠나) 김 의원은 처음부터 끝까지 오직 이희호 여사의 유지를 받들어 그 취지를 따르고자 함을 분명히 말한다”고 했다.

김 의원 측은 이희호 여사 유언장에 ‘노벨평화상 상금을 김대중 기념사업을 위해 사용하고’ ‘동교동 자택을 김대중 기념관으로 사용하고 소유권은 상속인인 김홍걸에게 귀속하되, 매각할 경우 대금의 3분의 1을 김대중기념사업회(이사장 권노갑)를 위해 사용하고, 나머지 대금을 김홍일·김홍업·김홍걸 3형제가 3분의1씩 나누라’는 내용이 담겼다고 했다. 김 의원이 일차적으로 모든 재산 상속인이라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고, 유언장을 따르지 않았다는 김홍업 이사장 측 주장은 ‘거짓’이라는 것이다.

김 의원 측은 그러면서 권노갑 김대중기념사업회 이사장이 4·15 총선을 앞두고 ‘재산을 이전하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으면 소송에 돌입하겠다고 “명백한 위협”을 가했다고도 주장했다. 민주당 비례대표 후보로 나선 김 의원의 선거 출마를 방해하려 했다는 것이다.

김홍걸 의원의 대리인 조순열 변호사(오른쪽)와 김정기 민화협 상임이사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홍걸 의원의 재산상속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김 의원 측은 노벨평화상 상금 8억원 중 일부를 상속세로 납부했다고도 했다. 김 의원 측 김정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공동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동교동 사저가 32억원이라서 15억의 세금(이 발생했다)”이라며 “김 의원이 상속세를 낼 돈이 다 없어서 국세청과 얘기해 5회로 나눠 내기로 합의했는데, 5회 중 1회를 납입할 때 (노벨상금 중 일부가) 나갔다고 알고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세금으로 냈다고 없어진 것이 아니다”며 “지방자치단체가 (동교동 사저를) 기념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매입해 갔을 때 다시 (상금을) 원위치 시키면 되는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또 “노벨평화상 상금이 이희호 여사 개인 계좌에 섞여 들어있었고, 나중에야 그게 상금이라는 걸 알았다”고도 했다.

이날 김 의원 측 기자회견에 대해 김 이사장 측은 “거짓이 너무 많다”고 반박했다. 김 이사장 측 인사는 본지 통화에서 “이희호 여 사 유언장에는 ‘김홍걸에게 귀속한다’는 내용이 없다”며 “없는 내용을 마치 있는 것처럼 주장한 것”이라고 했다. 또 “노벨평화상 상금 중 남은 8억원은 별도의 ‘이희호(노벨평화상 상금)’ 명의 계좌에 보관돼 왔고 거기서 나오는 이자는 매년 불우이웃돕기 등에 쓰였다”며 “왜 노벨평화상 상금이 다른 돈과 섞여 있었던 것처럼 설명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23/202006230264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