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관리위에 일부 공천 결정 再議 요구할 듯⋯ 최고委 재의 요구하면 공천위 재심사 해야
다만 공천위원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원안 재의결하면 최고위는 그대로 따라야
김형오 공천위원장, 黃대표 요구 수용할지 관심
다만 공천위원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원안 재의결하면 최고위는 그대로 따라야
김형오 공천위원장, 黃대표 요구 수용할지 관심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가 12일 당 공천관리위원회의 일부 공천 결정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당 최고위원 회의 의결을 통해 공천관리위원회에 일부 공천 결정에 대해 재의(再議)를 요구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통합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공직선거 공천은 최고위원 회의 의결로 확정되는데, 최고위는 공천위에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 공천위는 최고위원 회의의 재의 요구가 있으면 재심사를 해야 하지만, 공천위가 재적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원안대로 의결할 경우 최고위원 회의는 그 결정에 따르도록 통합당 당헌·당규는 규정하고 있다.
황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 회의에서 "공천위가 그동안 노력과 수고를 했으나, 일부 불공정 사례가 지적되고 있고 내부 반발도 적지 않게 일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황 대표는 "모든 공천이 완벽할 수는 없으나, 우리가 총선에서 뜻을 모아서 압승하기 위해 일부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황 대표는 "당대표로서 이 부분을 최고위원회의에서 심도있게 논의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며 "공천위원장과 공천위원들도 당의 이런 입장을 열린 마음으로 적극적으로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황 대표가 공천위의 공천 결정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온 것은 김형오 위원장이 주도하는 공천위의 일부 공천을 두고 당내에서 '사천(私薦)' 논란 등 반발이 일고 있는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서울, 인천, 부산, 대구 지역 등에서 공천된 일부 인사들을 '김형오 키즈'라 부르며 당 지도부가 공천위의 일부 공천에 대해 재심을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 때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맡아 탄핵소추위원 직무를 수행한 권성동(강원 강릉) 의원 공천 배제와 관련해 "법에 정한 직무에 따라 행한 업무를 문제 삼아 공천 배제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도 통합당 안에서 나온다. 김형오 위원장은 이날 공천위 회의에 불참했다. "당 일각에서 자신을 공격하는 데 대한 불쾌함의 표시"라는 해석을 낳았다.
미래통합당 상임선대위원장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김형오 위원장의 '사천' 논란을 빚고 있는 공천 인사들을 바로잡지 않는다면 선대위원장을 맡을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공천이 잘못된 상황에서는 어떻게 선거를 지휘해도 이길 수 없다"며 일부 공천이 번복되지 않으면 통합당 선대위원장을 맡을 수 없다는 뜻도 밝혔다. 다만 김 전 대표는 "공천 과정에서 영남이나 수도권의 친박(親朴)계 의원들에 대한 '컷오프'와 그에 따른 반발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면서 "하지만 문제는 빈자리에 국회의원이 될 만한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김 위원장 등의 영향력으로 진입하게 됐다는 점"이라고 했다.
김형오 공천위가 황 대표의 재의 요구를 따를지는 불투명하다. 이 때문에 경우에 따라 양측 간에 갈등이 불거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와 관련, 김 위원장은 전날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공천 심사에 배제된 인사들에 대해 "미안한 마음을 가눌 길이 없다"면서도 "변하지 않으면 우리는 다 죽는다"고 했다 . 김 위원장은 "지난 1월 공천위원장을 맡으면서 물갈이가 아니라 판갈이를 하겠다고 약속했다"며 "나눠먹기 없고 계파 없고 밀실 없는, 공정하고 청정한 공천이었다고 감히 말씀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른 데처럼 어떠한 혼란과 잡음, 살생부나 지라시 공천은 없었다. 비록 조용하고 더디더라도 최대한 인격과 예의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진행해왔다"고 했다.
황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 회의에서 "공천위가 그동안 노력과 수고를 했으나, 일부 불공정 사례가 지적되고 있고 내부 반발도 적지 않게 일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황 대표는 "모든 공천이 완벽할 수는 없으나, 우리가 총선에서 뜻을 모아서 압승하기 위해 일부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황 대표는 "당대표로서 이 부분을 최고위원회의에서 심도있게 논의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며 "공천위원장과 공천위원들도 당의 이런 입장을 열린 마음으로 적극적으로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황 대표가 공천위의 공천 결정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온 것은 김형오 위원장이 주도하는 공천위의 일부 공천을 두고 당내에서 '사천(私薦)' 논란 등 반발이 일고 있는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서울, 인천, 부산, 대구 지역 등에서 공천된 일부 인사들을 '김형오 키즈'라 부르며 당 지도부가 공천위의 일부 공천에 대해 재심을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 때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맡아 탄핵소추위원 직무를 수행한 권성동(강원 강릉) 의원 공천 배제와 관련해 "법에 정한 직무에 따라 행한 업무를 문제 삼아 공천 배제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도 통합당 안에서 나온다. 김형오 위원장은 이날 공천위 회의에 불참했다. "당 일각에서 자신을 공격하는 데 대한 불쾌함의 표시"라는 해석을 낳았다.
미래통합당 상임선대위원장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김형오 위원장의 '사천' 논란을 빚고 있는 공천 인사들을 바로잡지 않는다면 선대위원장을 맡을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공천이 잘못된 상황에서는 어떻게 선거를 지휘해도 이길 수 없다"며 일부 공천이 번복되지 않으면 통합당 선대위원장을 맡을 수 없다는 뜻도 밝혔다. 다만 김 전 대표는 "공천 과정에서 영남이나 수도권의 친박(親朴)계 의원들에 대한 '컷오프'와 그에 따른 반발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면서 "하지만 문제는 빈자리에 국회의원이 될 만한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김 위원장 등의 영향력으로 진입하게 됐다는 점"이라고 했다.
김형오 공천위가 황 대표의 재의 요구를 따를지는 불투명하다. 이 때문에 경우에 따라 양측 간에 갈등이 불거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와 관련, 김 위원장은 전날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공천 심사에 배제된 인사들에 대해 "미안한 마음을 가눌 길이 없다"면서도 "변하지 않으면 우리는 다 죽는다"고 했다 . 김 위원장은 "지난 1월 공천위원장을 맡으면서 물갈이가 아니라 판갈이를 하겠다고 약속했다"며 "나눠먹기 없고 계파 없고 밀실 없는, 공정하고 청정한 공천이었다고 감히 말씀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른 데처럼 어떠한 혼란과 잡음, 살생부나 지라시 공천은 없었다. 비록 조용하고 더디더라도 최대한 인격과 예의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진행해왔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