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신정동에 사는 정태진 씨(46)는 매년 8월 4일이 되면 6년 전 암으로 세상을 떠난
아내의 생일상을 차린다. '고향 간 사람'의 생일상을 차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떤 사연이 숨어 있기에 그러는 것일까? 아마
아직까지 아내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정씨가
고인이 된 아내를 처음 만난 건 지난 1987년 4월, 전북 김제 평야지대에서 농사를 짓던
그는 영농후계자로 선발돼 종묘, 농약 등의 구입문제로 종종 상경하곤
했는데 기차에서 우연히 동석하게 된 사람이 아내였다.
그렇게
만난 지 한 달 만에 결혼했고 정씨는 당시 사회문제가 됐던 농촌총각 장가 못가는
서열에서도 빠질 수 있었다. 비록 농촌에서의 생활이었지만 나름대로
행복한 신혼생활을 보냈다. 아내의 고운 심성에 마을 사람들의 칭찬이 마를
날이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에게 불행의 그림자가
다가왔다. 그해 6월 10일, 농기계 구입을 위해 기차로
상경한 그는 서울역에서 내려 역사를 빠져나오는데 시위행렬을 보았다.
'6.10 민주항쟁'의 현장이었다. 정씨는 의지와는 상관없이 시위대에 떼밀려
대열에 합류한 후 어느덧 시청 쪽으로 발길을 옮기며 두 팔을 하늘로
향하고는 독재 타도, 민주 쟁취를 외쳤다.
그러다가 최루탄이
터졌고 정씨는 이를 피하려다가 넘어지고 말았다. 정씨는 흩어지는
시위행렬에 무참히 짓밟혔고 머리를 심하게 다쳤다. 정신을 차려보니
병상이었고 옆에는 시골에서 급히 올라온 홀어머니와 아내가 지키고
있었다.
그 사고 후 한동안 다시 행복한 나날을
보냈다. 노환으로 어머님이 돌아가시기도 했지만 89년에는 2세도
태어났다. 그러던 어느 날부터인가 두통이 오기 시작했고 여러 군데 병원을 다닌 결과
뇌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게 됐다. 치매 혹은 알츠하이머병인데 6.
10 민주항쟁 현장에서 머리를 다친 후유증이 이제야 온
것이다. 이때가 1991년이다.
정신착란증으로 정신병원에
입원한 후로 정씨는 망가져갔다. 완전히 벌거벗은 몸으로
바깥을 돌아다닐 정도로 온전치 못한 그의 몸은
늘 상처투성이였다. 이처럼 심각한 정도의 정신병 환자로
91년부터 99년까지 8년을 살았으니 그 동안 가족들의 고충은 말로
표현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아내는 이런 남편을 지극 정성으로 간호했다.
그동안 아내는 그 많은 농지를 정리해 미국의
유명한 정신병원인 '동부 컨퍼런스 병원'에서 여러 차례 치료를
받았다. 1년에 네 다섯 차례 미국의 병원을 오가며 치료를 받는 동안 정신이 오락가락 하면서
그의 삶은 혼란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아내의 지극정성에 힘입어
정씨는 차도를 보였고 99년 병원 측으로부터 완치 판정을
받았다.
정씨는 잃었던 행복을 되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1999년 12월 17일 미국에서 귀국했을 때
아내는 이미 자궁암 말기 환자가 되어 병원에 누워 있었다. 빡빡
깎은 머리에 모자를 쓴 채 말 한 마디 나눌 수 없을 정도로 아내는 죽음의 한 가운데
서 있었다. 그 동안 남편의 정신병을 고치기 위해 자신의 병을
드러낼 수 없었던 것이다.
남편이 멀쩡한 정신으로 돌아온 사실을 아는지
모르는지 아내는 그렇게 누워 있었다. 아내의 지극 정성으로 즉 아내
덕분에 정신병을 고치고 다시 태어나는 순간인데 아내는 이 기쁜 순간을
누리지 못했다.
남편이 미국에서 돌아온 지 4일 만인
1999년 12월 21일, 눈을 감지 않으려고 미간에 잠깐
동안의 미동만 보이다 아내는 생을 마감했다. 그토록 사랑했던 아내가
남편을 살리고 대신 자신이 떠나 간 것이다.
그 후 남편은
아내의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고 한다. 대신 아내의 생일상을 차린다. 아내가 죽었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씨가 살아 있는 동안
제사 대신 아내의 생일상을 차리기로 한 것이다. 또 주변에서는 세월이 약이라며
정씨에게 새로운 삶을 권유하지만 먼저 간 아내를 배반할 수 없어
혼자 살고 있다.
- 파이뉴스 윤태 객원기자
-
-------------------------------------------
세상 많고 많은 사람들
가운데 "아~ 내 사람이다" 라고 점찍어 부부의 인연을 맺는다는 것은 참으로 놀랍고도 복된 일입니다. 서로의 다른 모습을
인정하고 서로서로 보완하여 완성해가는 삶. 그 인연을 소중히 지켜 가고 있는 남편에게, 아내에게, 사랑의 말을 속삭여
보세요.
- 삶의 동반자, 당신이 계셔서 행복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