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코로나 환자 폭증 속 역학조사관 업무 ‘과중’
동선 확인 위해 CCTV부터 카드내역, GPS 추적
24시간 근무 체제에 평일 추가 수당은 4만5000원
"신종 감염병 대응 위해 전문 인력 충원 필요하다"
"어느새 집에 못 들어간 지 한 달째에요."
역학조사관으로 일하는 공중보건의 A(30)씨는 지난 13일 오전 7시쯤 사무실 간이침대에서 눈을 떴다. 지난 새벽 동안 걸려오는 문의전화를 받고, 확진자가 다녀간 장소의 폐쇄회로(CC)TV를 보느라 집에 가지 못했다. 사무실 구석에 있는 간이침대에서 2~3시간 남짓 쪽잠을 자는 것이 어느덧 일상이 됐다.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오고 14일까지 56일이 지났다. 지난달부터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폭증했고, 최근 수도권에서도 연일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역학조사관의 업무는 그만큼 늘었다. 역학조사관들은 체력적인 피로와 감정 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토로했다.
동선 확인 위해 CCTV부터 카드내역, GPS 추적
24시간 근무 체제에 평일 추가 수당은 4만5000원
"신종 감염병 대응 위해 전문 인력 충원 필요하다"
"어느새 집에 못 들어간 지 한 달째에요."
역학조사관으로 일하는 공중보건의 A(30)씨는 지난 13일 오전 7시쯤 사무실 간이침대에서 눈을 떴다. 지난 새벽 동안 걸려오는 문의전화를 받고, 확진자가 다녀간 장소의 폐쇄회로(CC)TV를 보느라 집에 가지 못했다. 사무실 구석에 있는 간이침대에서 2~3시간 남짓 쪽잠을 자는 것이 어느덧 일상이 됐다.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오고 14일까지 56일이 지났다. 지난달부터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폭증했고, 최근 수도권에서도 연일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역학조사관의 업무는 그만큼 늘었다. 역학조사관들은 체력적인 피로와 감정 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토로했다.
◇동선 숨기는 확진자, 찾아내는 역학조사관…"CCTV라도 있으면 다행"
역학조사관은 확진자가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 감염된 상태에서 몇 명을 만났는지를 조사하는 것은 물론, 방역 대책을 계획하는 일도 한다. 지역 내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1차적으로는 확진자의 진술을 기반으로 동선을 파악한다. 이후 확진자가 다녀간 장소의 폐쇄회로(CC)TV나 카드 결제기, 스마트폰과 자동차 GPS 기록을 확인하면서 확진자 진술의 빈틈을 채워나간다.
수도권에서 일하는 역학조사관 B(30)씨는 최근 ‘인공눈물’을 사용하고 있다. 하루종일 CCTV를 보는 일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가서 환자의 동선을 파악하는데 CCTV를 반나절 동안 본 날도 있다"며 "말 그대로 눈알이 빠질 것 같았다"고 했다.
CCTV가 있으면 그나마 다행이라고 한다. 확진자 방문지에 CCTV가 설치돼있지 않으면 수백건에 이르는 카드 사용 내역이나 GPS 기록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환자의 기억에만 의지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확진자가 방문한 가게에서 현금 결제가 이뤄진 경우는 사실상 추적이 어렵다고 한다.
"역학조사관들끼리 농담처럼 하는 이야기가 제일 무서운 환자는 ‘무증상 환자’에요. 많은 추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있지만, 언제 증상이 발현됐는지 알 수가 없거든요. 최소 14일치(잠복기) 동선을 모두 확인해야 한다는 뜻이죠." 수도권에서 일하는 역학조사관 C(32)씨의 말이다.
그마저도 인원 부족에 시달린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 60조2에 의해 각 시·도에는 2명의 역학조사관이 배치돼야 한다. 그러나 A씨가 속한 지자체의 역학조사관은 A씨 한 사람뿐이다. A씨는 "지역에서 확진자가 처음 발생했을 때 이틀 밤을 꼬박 새고 삼일 째 되는 날 밤 9시에 퇴근했다"며 "하루에 벤티 사이즈(약 590㎖) 커피 두 잔을 마시는 것은 기본"이라고 했다.
역학조사관은 확진자가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 감염된 상태에서 몇 명을 만났는지를 조사하는 것은 물론, 방역 대책을 계획하는 일도 한다. 지역 내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1차적으로는 확진자의 진술을 기반으로 동선을 파악한다. 이후 확진자가 다녀간 장소의 폐쇄회로(CC)TV나 카드 결제기, 스마트폰과 자동차 GPS 기록을 확인하면서 확진자 진술의 빈틈을 채워나간다.
수도권에서 일하는 역학조사관 B(30)씨는 최근 ‘인공눈물’을 사용하고 있다. 하루종일 CCTV를 보는 일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가서 환자의 동선을 파악하는데 CCTV를 반나절 동안 본 날도 있다"며 "말 그대로 눈알이 빠질 것 같았다"고 했다.
CCTV가 있으면 그나마 다행이라고 한다. 확진자 방문지에 CCTV가 설치돼있지 않으면 수백건에 이르는 카드 사용 내역이나 GPS 기록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환자의 기억에만 의지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확진자가 방문한 가게에서 현금 결제가 이뤄진 경우는 사실상 추적이 어렵다고 한다.
"역학조사관들끼리 농담처럼 하는 이야기가 제일 무서운 환자는 ‘무증상 환자’에요. 많은 추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있지만, 언제 증상이 발현됐는지 알 수가 없거든요. 최소 14일치(잠복기) 동선을 모두 확인해야 한다는 뜻이죠." 수도권에서 일하는 역학조사관 C(32)씨의 말이다.
그마저도 인원 부족에 시달린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 60조2에 의해 각 시·도에는 2명의 역학조사관이 배치돼야 한다. 그러나 A씨가 속한 지자체의 역학조사관은 A씨 한 사람뿐이다. A씨는 "지역에서 확진자가 처음 발생했을 때 이틀 밤을 꼬박 새고 삼일 째 되는 날 밤 9시에 퇴근했다"며 "하루에 벤티 사이즈(약 590㎖) 커피 두 잔을 마시는 것은 기본"이라고 했다.
◇감정노동은 ‘덤’... 24시간 체제에도 하루 4만 5000원 추가 수당
환자 동선을 공개하면서 발생하는 ‘항의’를 감당하는 역할도 역학조사관의 업무가 됐다. 환자가 나오면 우선 2~3시간 내에 진술 등을 토대로 1차 동선을 파악하는데, 지자체는 추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이 동선을 곧바로 공개한다. 하지만 환자의 기억은 왜곡되기 일쑤다. A씨는 "확진자가 잘못 말한 상호명을 방문지로 공개했다가 실제와 달라 해당 업주로부터 항의 전화를 받는 일이 빈번하다"고 했다.
확진자가 거짓말하는 경우도 있다. 집단감염이 발생한 지역 역학조사관 D(33)씨는 "같은 사람으로서 자신의 동선을 낯낯이 공개하는 게 유쾌하지만은 않은 걸 이해한다"면서도 "확진자의 말과 나중에 확인한 실제 동선이 너무 달라서 아예 방역 범위를 재설계한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확진자 거주 아파트를 찾았던 B씨는 확진자와 주민 모두가 항의하는 바람에 곤혹을 치뤘다. B씨는 "확진자는 ‘왜 내가 사는 곳의 주소를 마음대로 공개하느냐’ 따지고, 관리사무소에 가니까 주민들은 ‘확진자가 정확히 어디에 사느냐’며 다그쳤다"고 했다.
24시간 근무 체제로 바뀐 뒤에도 평일 하루 최대 4만 5000원의 추가 수당이 전부다. D씨는 "더 슬픈 것은 ‘확진자와 직접 만나는 것도 아닌데 돈을 많이 받아야 하느냐’는 핀잔까지 듣는 현실"이라고 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은 지난 13일 정례브리핑에서 신종 감염병 대응체계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부분 중 하나로 ‘공 중보건 역량’을 꼽았다. 정 본부장은 "중앙뿐만 아니라 각 지자체의 그런 역학조사와 대응능력 또는 전문가 양성 이런 부분이 아직도 부족하다"며 "지자체의 대응역량, 전문인력을 확충하는 것은 앞으로도 계속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14일 오전 기준 국내 우한 코로나 확진자는 8086명이고, 1만7634명을 검사하고 있다. 전국의 역학조사관은 130명이다.
환자 동선을 공개하면서 발생하는 ‘항의’를 감당하는 역할도 역학조사관의 업무가 됐다. 환자가 나오면 우선 2~3시간 내에 진술 등을 토대로 1차 동선을 파악하는데, 지자체는 추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이 동선을 곧바로 공개한다. 하지만 환자의 기억은 왜곡되기 일쑤다. A씨는 "확진자가 잘못 말한 상호명을 방문지로 공개했다가 실제와 달라 해당 업주로부터 항의 전화를 받는 일이 빈번하다"고 했다.
확진자가 거짓말하는 경우도 있다. 집단감염이 발생한 지역 역학조사관 D(33)씨는 "같은 사람으로서 자신의 동선을 낯낯이 공개하는 게 유쾌하지만은 않은 걸 이해한다"면서도 "확진자의 말과 나중에 확인한 실제 동선이 너무 달라서 아예 방역 범위를 재설계한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확진자 거주 아파트를 찾았던 B씨는 확진자와 주민 모두가 항의하는 바람에 곤혹을 치뤘다. B씨는 "확진자는 ‘왜 내가 사는 곳의 주소를 마음대로 공개하느냐’ 따지고, 관리사무소에 가니까 주민들은 ‘확진자가 정확히 어디에 사느냐’며 다그쳤다"고 했다.
24시간 근무 체제로 바뀐 뒤에도 평일 하루 최대 4만 5000원의 추가 수당이 전부다. D씨는 "더 슬픈 것은 ‘확진자와 직접 만나는 것도 아닌데 돈을 많이 받아야 하느냐’는 핀잔까지 듣는 현실"이라고 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은 지난 13일 정례브리핑에서 신종 감염병 대응체계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부분 중 하나로 ‘공 중보건 역량’을 꼽았다. 정 본부장은 "중앙뿐만 아니라 각 지자체의 그런 역학조사와 대응능력 또는 전문가 양성 이런 부분이 아직도 부족하다"며 "지자체의 대응역량, 전문인력을 확충하는 것은 앞으로도 계속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14일 오전 기준 국내 우한 코로나 확진자는 8086명이고, 1만7634명을 검사하고 있다. 전국의 역학조사관은 130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