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전형 확대하겠다면서 비율은 ‘미정’
여름방학 맞은 중3 “고입이 코 앞인데…”
결국 수능·내신·비교과·논술 다 잘해야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가 수학능력평가(수능)전형을 확대하되, 구체적인 비율은 정하지 않은 ‘2022학년도 대학 입시 개편 권고안’을 발표하면서 중학교 교실이 혼란에 빠졌다. 당장 11월부터 고입(高入)이 다가오는데, 모호한 ‘권고안’만으로는 어느 고교에 지원해야 할지 결정 못하겠다는 것이다. 돌고 돌아 ‘현행유지’로 가닥이 잡힌 데 대해서는 “우리가 (교육 정책의) 실험용 생쥐냐”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은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른다.
여름방학 맞은 중3 “고입이 코 앞인데…”
결국 수능·내신·비교과·논술 다 잘해야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가 수학능력평가(수능)전형을 확대하되, 구체적인 비율은 정하지 않은 ‘2022학년도 대학 입시 개편 권고안’을 발표하면서 중학교 교실이 혼란에 빠졌다. 당장 11월부터 고입(高入)이 다가오는데, 모호한 ‘권고안’만으로는 어느 고교에 지원해야 할지 결정 못하겠다는 것이다. 돌고 돌아 ‘현행유지’로 가닥이 잡힌 데 대해서는 “우리가 (교육 정책의) 실험용 생쥐냐”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은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른다.
◇高入이 코 앞인데…‘깜깜이 여름방학’
강원도 춘천에서 중학교를 다니는 3학년 신채희(15)양은 여름방학을 맞아 고입준비에 한창이다.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는 신양은 의대 진학이 목표다. 그러나 신양은 이날 발표된 ‘대입 개편 권고안’을 접하고 고민에 빠졌다.
신양은 “고입이 코 앞인데 수능으로 얼마 만큼 뽑는지도 말해주지 않아 ‘깜깜이’로 여름방학을 보낼까 봐 걱정”이라면서 “의료·아동 관련 봉사를 계속해왔는데, 수능 전형을 늘린다면 지금까지 해온 것들은 물거품이 되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분당 구미중학교를 다니는 김예올(15)양은 “입시제도와 교육과정이 한번에 바뀌고 ‘자율학기제’도 중학교 3학년에게 첫 적용된다”며 “친구들 사이에서 ‘중3이 무슨 교육정책 실험쥐냐’는 말이 나온다”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속이 탄다. 인천에 거주하는 중3 학부모 이모(43)씨는 “어떤 대입안이 나오는지에 따라 일반고로 갈지, 특목고에 도전할지 결정할 텐데, 교육부 ‘결정장애’ 때문에 학생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진학담당 교사도 ‘뾰족한 수’가 없다. “공론화위, 국가교육회의, 교육부가 돌아가면서 중3 대입안을 만지작거리면서 결국 시간만 까먹고 있는 것 아닙니까. 진학부장인 저조차도 권고안만으로는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조언을 못해줍니다. 아이들이 ‘저희 어떻게 하면 되느냐’고 물어오면 그저 ‘정부 발표 신경 쓰지 마라, 좋은 책 많이 읽어라, 너의 꿈을 찾아라’ 이런 이야기 말고는 할 수가 없습니다. 무력감을 느낍니다.” 인천지역 중학교 진학부장 박모(38)교사가 말했다.
학생과 학부모, 학원가가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것은 이날 발표가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국가교육회의는 수능 전형의 모집비율을 현행보다 확대할 것을 ‘권고’하면서도, 모집비율을 얼마로 할지는 결론 내리지 못했다. 국가교육회의 측은 “대학 별로 처한 상황, 신입생 선발방법 비율이 달라 구체적인 수능위주 전형비율을 정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입시전문가들은 현재 20%대에 머무는 정시모집 비율이 40% 안팎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교육부가 최종적으로 어떤 결정을 내릴지 결정된 바 없다. 중3학생들은 이런 상황에서 여름방학을 보내고 있다.
강원도 춘천에서 중학교를 다니는 3학년 신채희(15)양은 여름방학을 맞아 고입준비에 한창이다.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는 신양은 의대 진학이 목표다. 그러나 신양은 이날 발표된 ‘대입 개편 권고안’을 접하고 고민에 빠졌다.
신양은 “고입이 코 앞인데 수능으로 얼마 만큼 뽑는지도 말해주지 않아 ‘깜깜이’로 여름방학을 보낼까 봐 걱정”이라면서 “의료·아동 관련 봉사를 계속해왔는데, 수능 전형을 늘린다면 지금까지 해온 것들은 물거품이 되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분당 구미중학교를 다니는 김예올(15)양은 “입시제도와 교육과정이 한번에 바뀌고 ‘자율학기제’도 중학교 3학년에게 첫 적용된다”며 “친구들 사이에서 ‘중3이 무슨 교육정책 실험쥐냐’는 말이 나온다”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속이 탄다. 인천에 거주하는 중3 학부모 이모(43)씨는 “어떤 대입안이 나오는지에 따라 일반고로 갈지, 특목고에 도전할지 결정할 텐데, 교육부 ‘결정장애’ 때문에 학생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진학담당 교사도 ‘뾰족한 수’가 없다. “공론화위, 국가교육회의, 교육부가 돌아가면서 중3 대입안을 만지작거리면서 결국 시간만 까먹고 있는 것 아닙니까. 진학부장인 저조차도 권고안만으로는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조언을 못해줍니다. 아이들이 ‘저희 어떻게 하면 되느냐’고 물어오면 그저 ‘정부 발표 신경 쓰지 마라, 좋은 책 많이 읽어라, 너의 꿈을 찾아라’ 이런 이야기 말고는 할 수가 없습니다. 무력감을 느낍니다.” 인천지역 중학교 진학부장 박모(38)교사가 말했다.
학생과 학부모, 학원가가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것은 이날 발표가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국가교육회의는 수능 전형의 모집비율을 현행보다 확대할 것을 ‘권고’하면서도, 모집비율을 얼마로 할지는 결론 내리지 못했다. 국가교육회의 측은 “대학 별로 처한 상황, 신입생 선발방법 비율이 달라 구체적인 수능위주 전형비율을 정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입시전문가들은 현재 20%대에 머무는 정시모집 비율이 40% 안팎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교육부가 최종적으로 어떤 결정을 내릴지 결정된 바 없다. 중3학생들은 이런 상황에서 여름방학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