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8.02 03:06
[8·2 부동산 대책 1년]
고강도 규제·지방 부동산 경기 급냉에 건설 수주 줄며 고용참사
2015~2017년 매년 7만여 명씩 늘어나던 건설 투자발(發) 일자리가 올 2분기 기준으로는 1년 전보다 6638개 감소했다. '8·2 부동산대책'으로 지방 주택 경기가 급랭, 건설 부문 일자리가 대폭 감소한 것이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주택 경기 침체에 정부 SOC(사회간접자본) 예산 감축으로 매년 10만여 개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한국은행의 국내총생산(GDP)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2분기 '건설 투자가 유발한 일자리(취업자) 수'는 92만7144개였다. 작년 2분기 93만3782개에서 6638개 감소했다.
◇건설업 고용 효과 무시한 8·2 부동산 대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경제 동향 보고서에서 "1분기 한국 고용 성장이 눈에 띄게(markedly) 둔화하고 있으며, 이에 더해 LTV(담보인정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등 대출 규제가 주거용 건물 건설 수주 증가율을 작년 76%에서 올해 2% 아래로 끌어내렸다"고 분석했다. 1일 국토부 발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등 주거용 건물의 2분기 인허가 면적은 작년 동기보다 17.2% 줄었다.
조동근 명지대 교수(경제학)는 "작년 8·2 대책이 가뜩이나 어렵던 지방 아파트 시장을 완전한 하락세로 돌려세우면서 지방 주택 경기 침체로 이어졌고, 그 결과로 고용참사가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 위기 이후 최악의 고용한파가 발생한 것도 주택산업의 고용 효과를 무시한 정책 탓이라는 비판이다.
◇SOC 예산 감안하면 연간 10만개 일자리 감소
SOC 감소도 영향을 미쳤다. 정부가 책정한 올해 SOC 예산은 19조원으로 작년(22조1000억원)보다 3조1000억원 줄었다. 그 결과 1분기 토목건설에서만 투자액이 전년 동기 대비 4000억원 감소했다. 정부는 SOC 예산을 내년 17조원, 내후년엔 16조5000억원, 2021년에는 16조2000억원까지 줄여나갈 방침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 한 해 예상되는 건설 수주 감소로 향후 5년간 취업자 수는 32만명 줄어든다. 또 정부의 SOC 예산 축소로 감소하는 취업자 수는 '향후 4년간 29만2000명'으로 분석됐다. 올해 건설 수주 감소와 SOC 예산 감축을 고려하면 매년 10만여 개 일자리가 없어진다는 의미다.
건설업 일자리 감소는 직종별로 단순 노무직, 학력별로는 저(低)학력자에게 더 큰 충격을 준다. 건설투자로 발생하는 일자리에서 관리자·전문가·사무직을 제외한 '단순 기능직과 서비스직'의 비중은 70.8% 수준이다. 또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중졸 이하 계층 취업자 수는 418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6만5000명 줄었다. 고졸은 14만6000명 줄었다. 반면 대졸자 취업은 31만2000명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건설과 음식·숙박업, 도소매업의 부진 등이 저학력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 민간 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서민 복지를 강조하는 현 정부 정책이 결과적으로 서민층과 약자에게 가장 큰 고통을 준 셈"이라고 말했다.
이홍일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 산업에도 사이클(주기)이 있기 때문에 끝없이 성장할 수는 없지만, 문제는 정부 규제와 정책으로 인해 위축되는 폭과 속도가 너무 빨라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굉장히 클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주택 시장 규제 수위를 낮추고 SOC 예산도 적정 수준에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오늘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자는 최저임금에 우는데… 靑자영업비서관 "빨리 1만원 돼야" (0) | 2018.08.08 |
---|---|
중3 "우리가 실험용 생쥐냐" 전문가 "사교육비 늘어날 것"...모호한 대입개편 권고안 (0) | 2018.08.07 |
39도… 두 불기둥에 갇힌 서울, 오늘도 내일도 '火요일' (0) | 2018.08.01 |
"노동운동이 근로자간 격차를 심화시켰다… (0) | 2018.07.26 |
"돈 안받았다" 했던 노회찬, 수사 앞두고 극단 선택 (0) | 2018.07.24 |